제목
이월한 연차의 사용촉진 관련
페이지 정보

글쓴이 관리자
등록일 22-02-04 08:46
조회수 1,935회
본문
임금근로시간과-1279 (2020. 6. 16.)
[질 의]
◯ 이월한 연차의 사용촉진 관련
[회 시]
◯ 연차사용촉진 기간은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른 기간이 끝나기 전 하도록 규정되어 있고,
연차사용촉진에 따른 효과는 “보상의무가 소멸”되는 것이지, 연차휴가 자체가 소멸되는 것으로는 볼 수 없으며,
◯ 노사간 연차수당을 지급하는 대신 이월하여 사용토록 하거나,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합의도 유효하므로
- 귀 질의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은 어려우나,
2020.3.31.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 연차사용촉진을 한 경우,
해당 연차휴가에 대한 보상의무는 “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”난 후에 소멸되나,
노사 합의에 따른 사용기간까지는 여전히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.
[질 의]
◯ 이월한 연차의 사용촉진 관련
[회 시]
◯ 연차사용촉진 기간은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른 기간이 끝나기 전 하도록 규정되어 있고,
연차사용촉진에 따른 효과는 “보상의무가 소멸”되는 것이지, 연차휴가 자체가 소멸되는 것으로는 볼 수 없으며,
◯ 노사간 연차수당을 지급하는 대신 이월하여 사용토록 하거나,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합의도 유효하므로
- 귀 질의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은 어려우나,
2020.3.31.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 연차사용촉진을 한 경우,
해당 연차휴가에 대한 보상의무는 “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”난 후에 소멸되나,
노사 합의에 따른 사용기간까지는 여전히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.
- 이전글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휴직한 기간은 연차유급휴가의 기준이 되는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제외 22.02.07
- 다음글근로기준법 상 근로자대표 자격 및 서면합의의 효력 22.01.28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